기사최종편집일 : 2025-05-19
 
 
  2025. 05. 23(금)
인기검색어 :
 
교과/학습
 
 
 
교사들의 열정이 피워낸 여름방학 직무연수

미국 현지 연수를 다녀온 교원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구성한 직무연수를 열어 주목받고 있다.

 

경상남도교육청(교육감 박종훈)1일 창원 양덕중학교에서 미국 심화 연수를 이수한 교원들이 강사로 참여해 미래형 수업 활성화 프로젝트 수업(PBL)* 직무연수를 진행했다.

*프로젝트 수업(PBL): 주입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체험하고 토론하면서 답을 찾아가는 수업 방식.

 

경남교육청은 디지털 수업 혁신, 학생 맞춤형 교육체제를 강화하는 데 필요한 빅데이터·인공지능 플랫폼 아이톡톡과 학생용 스마트 단말기 아이북을 기반으로 한 미래형 수업을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미래형 수업 직무연수를 여름방학에 운영한다.

 

특히, 강사와 연수생 등 교원 89명이 참가한 미래형 수업 활성화 프로젝트 수업(PBL) 직무연수는 지난 5월 미국 연수를 이수한 프로젝트 수업 전문 교원들이 운영해 국외 연수의 우수 모델이 되고 있다.

 

경남교육청은 지난 58일부터 517일까지 프로젝트 수업의 본고장인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뉴텍 하이스쿨에서 중등 교원 18명이 참여한 프로젝트 수업 심화 연수를 운영하였다. 이 학교는 세계적인 프로젝트 수업 연구 단체인 벅 교육협회와 연계하여 모든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는 대표적인 학교이다. 연수 참여 교원들은 교직원·학생을 만나 프로젝트 수업과 관련된 최신 이론을 배우고,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기기와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을 참관했다.

 

국외 연수 이후 참가 교원들은 프로젝트 수업과 관련하여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만들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를 계속해 왔다. 이번 여름방학 연수 프로그램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구성되었으며, 앞으로도 연구와 실천으로 겨울방학 프로젝트 수업 심화 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연수를 운영한 최금혜 창원대암고 수석교사는 국외 연수에서 익힌 프로젝트 수업 최신 이론을 국내 수업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생님 대상 직무연수를 운영할 수 있어서 큰 자부심을 느낀다.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을 통해 프로젝트 수업이 미래형 수업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경남교육청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아이톡톡-아이북 활용 등 미래형 수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국외 심화 연수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운영하여 전문 교원을 양성할 예정이다.

 

황흔귀 중등교육과장은 교육부의 공교육 경쟁력 제고 방안에서 볼 수 있듯이 디지털 기반의 미래형 수업 혁신이 중요한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라고 밝히며 아이톡톡-아이북 기반의 학생 맞춤형 교육체제를 가장 먼저 구축한 경남교육이 대한민국 미래교육의 선도 모델로 자리를 잡겠다라고 말했다.

 

 

- 편집국 gagopaedu@daum.net

- 기사입력 202381

 
 
 
제11회 경남교육청 이중언어말하...
경남도, ‘경남 청년을 위한 달...
“더워도 괜찮아요 우리에게 숲...
경남교육청, 회계 업무 담당자 ...
제22회 마산어시장 축제, 전국 ...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
창원특례시, 사파 복합공영주차...
경남대표도서관, 작은도서관 활...
창원특례시, 2023 Korea! 창원틴...
창원시립무용단, 성산아트홀서 ...
- (바우처) 일상돌봄 심리지원서비...
- (바우처) 정신건강토탈케어서비...
- (바우처) 아동청소년심리지원서...
메인 공지 입니다.
학점은행제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학점은행제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명칭)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경남, 아00058       (등록년월일) 2009년 3월 4일       (제호) 가고파평생교육신문
(발행인) 안증애       (편집인) 김동진       (청소년보호책임자) 김동진       (전화번호) 055) 295-8900
(발행소)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로163, 2층(양덕동, 명덕빌딩)       (발행년원일) 2009년 3월 4일

Copyright by 가고파평생교육신문
 admin